野 반대에 '재초환 수정안' 내놓은 정부…강남 등 재건축 부담금 늘 듯
野 반대에 '재초환 수정안' 내놓은 정부…강남 등 재건축 부담금 늘 듯, 면제금액, 1억원으로 유지하되 부과구간 7000만원서 차등화 20년 초장기 1주택 보유자에겐 감면폭 최대 60%로 확대 적용
www.hankyung.com
✔ 무엇
- 29일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지난 22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토법안심사 소위원회에 앞서 재건축초과이익환수법 개정안에 대한 수정안을 제출.
- 국토위는 지난해 9월 정부가 발표한 ‘재건축 부담금 합리화 방안’ 내용을 담은 초과이익환수법 개정안을 심의 중.
💡 용어 정리
재건축초과이익환수법
재건축으로 조합원이 얻은 이익이 인근 집값 상승분과 비용 등을 빼고 1인당 평균 3천만 원이 넘을 경우에 초과 금액의 최고 50%를 세금으로 환수하는 제도.
👉 기존 부담금 면제 금액 3천만원에서 1억원으로 상향될 예정
조합원이란, 재건축 사업이 진행되는 해당 토지 및 건축물의 소유자를 뜻함.
✔ 왜
- 제도가 도입된 2006년 이후 한 번도 기준이 개정되지 않아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는 이유.
- 여야는 부담금 면제 금액과 부과 구간 상향 조정 필요성엔 공감.
✔ 어떻게
부과 구간 | 부과 요율 |
1억∼1억7000만원 (구간 7000만원) | 10% |
1억7000만∼2억3000만원 (구간 6000만원) | 20% |
2억3000만∼2억8000만원(구간 5000만원) | 30% |
2억8000만∼3억2000만원(구간 4000만원) | 40% |
3억2000만원 초과 | 50% |
👉 초과이익 1억7000만원을 넘어가는 경우 부담금 규모가 커질 전망.
- 대신 정부는 장기 1주택자의 감면 규모를 확대하기로 함.
- 기존 10년 이상 보유자에게 최대 50%를 감면하는 안에서 20년 이상 초장기 보유자는 60%로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내놓음.
✔ 질문
재건축초과이익환수법 개정을 하면 지역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 이번 수정안으로 인천·경기·지방의 평균 부과 금액은 큰 차이가 없을 것.
- 서울의 고액 부과 단지는 평균 부과 금액이 증가하는 효과.
- 업계에선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 용산구 한강맨션 등 서울 핵심 단지는 입주 시점의 집값에 따라 10억원대 부담금 부과가 현실화할 수도 있다고 보고 있음.
✔ 투자 적용
재건축초과이익환수 면제 금액이 3천만원은 너무 작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1억으로 상향 조정이 된다고 하니 다행입니다.
요즘 재건축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던데 부동산 시장에 많은 사람들이 참여를 하여 집값이 정상화되기를 바랍니다.
'출근길 경제투자' 소식을 좀 더 빨리 보고 싶다면?
카카오뷰 채널 추가로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출근길 경제투자
매일 출근길에 볼 수 있도록 당일의 경제 정보를 투자와 접목하여 전달하는 경제 소식지 :-)
pf.kakao.com
⭐️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2023.06.09 - [· 부동산] - 전세반환대출 DSR 규제 완화 ft.전세사기 피해자 지원책 (23.06.09)
전세반환대출 DSR 규제 완화 ft.전세사기 피해자 지원책 (23.06.09)
추경호 부총리 "전세반환대출, DSR 규제 풀 것"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역전세난과 관련해 “전세금 반환 목적에 한해 한시적으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완화하는
behari.tistory.com
2023.05.04 - [· 부동산] - 수도권 재건축 1,100가구 경매 위기 (23.05.04)
수도권 재건축 1,100가구 경매 위기 (23.05.04)
공사비 갈등에 1100가구 경매 위기 철거까지 마친 수도권의 한 재건축 사업지 1100가구가 모두 경매에 넘어갈 위기에 처했다. 원자재값과 인건비 인상 등으로 최근 1년 새 공사비가 30% 이상 뛰면서
behari.tistory.com
2023.06.02 - [· 부동산] - 수도권 아파트 매매, 전세 변동률 & 청약 수요 (23.06.02)
수도권 아파트 매매, 전세 변동률 & 청약 수요 (23.06.02)
수도권마저 “분양가 10억입니다”…집값 바닥 찍고 오르나 매매·전세·청약 모두 온기 최근 서울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 상승은 ‘선호 지역·주요 단지’가 주도하고 있다. 이런 단지를 중심
behari.tistory.com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반환대출 DSR 규제 완화 ft.전세사기 피해자 지원책 (23.06.09) (0) | 2023.06.09 |
---|---|
수도권 아파트 매매, 전세 변동률 & 청약 수요 (23.06.02) (0) | 2023.06.02 |
수도권 재건축 1,100가구 경매 위기 (23.05.04) (0) | 2023.05.04 |
오피스텔 담보 대출 한도 상향 24일부터 (23.04.08) (0) | 2023.04.08 |
등골 휘는 중도금 대출 가산금리 개선 청원 (23.04.04) (2) | 2023.04.04 |